이번 시간에는 구글 검색 기록 삭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크롬등에서 계정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로 검색을 하게되면, 집에서 검색한 것들이, 회사나 다른 컴퓨터에서 로그인 했을때 동기화가 되는것을 아시나요?
이러한 불편한 점들을 예방하기 위해 가끔가다가 구글 검색기록 삭제를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구글 검색 기록 확인 | 크롬 브라우저

먼저 구글에 들어가 본인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이 상태에서, 우측 상단에 “프로필 사진을 클릭“하고, “Google 계정 관리” 아이콘을 클릭 합니다.

이후, 좌측 메뉴에서 “데이터 및 맞춤설정” 을 클릭하고,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우측에 활동 및 타임라인 박스 안에 “내 활동” 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스크롤을 내리면, 날짜별로 활동창에서 검색한 모든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 기록 삭제 | 크롬 브라우저
검색기록을 삭제하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삭제” 버튼을 누르면, 삭제할 수 있는 범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난 1시간, 지난 1일, 전체 기간, 사용자설정 범위 등으로 선택하여 원하는 날짜 구간사이의 검색기록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전체기간을 누르게 되면, 지금까지의 모든 검색 기록이 삭제됩니다.

정상적으로 삭제된 경우, 다시 “내 활동” 구역으로 돌아오면 조금전까지 보였던 날짜별 검색 히스토리가 지워진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 기록 끄기 & 자동 완성 끄기
구글 검색 기록 끄기 혹은 자동 완성 끄기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위 방법과 같이 전체 기록을 삭제 해도, 지금부터 검색하는 모든 기록은 다시 구글에 자동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이것은 설정에 들어가서 수정해줄 수 있습니다.

우선, 계정관리 창으로 돌아가서, “데이터 및 맞춤설정” 을 눌러줍니다. 이후, 스크롤을 내리고 “활동 제어” 박스 아래에 “웹 및 앱 활동” 옵션을 눌러줍니다.

현재 ON 으로 되어있어 파란색으로 표기가 되고있는데, 이것을 클릭해주면 하기와같이 창이 뜹니다.

“일시중지”를 눌러주시면, 이제부터 검색기록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검색기록, 캐시(Cache), 빅데이터와 구글 상위 노출 순위의 상관관계
구글 알고리즘은 매우 똑똑합니다.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것이 무엇일까를 복잡한 알고리즘 및 빅데이터를 통해 파악하여 최적의 검색결과를 보여줍니다.

예를들어, “구글 명령어” 라는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헤들리 마케팅의 블로그 글을 이전에 클릭한 적이 있고, 몇번 방문한적이 있는경우 구글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기억해서 이를 검색결과에 반영하곤 합니다.
왜냐하면,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사람의 검색의도(Search intent)를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정보를 보여주는것이 구글의 가장 원초적인 존재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ncognito 혹은 InPrivate모드 등을 사용하고, IP주소를 특정 다른 위치로 바꾸고, 캐시 및 검색기록을 지우며, 구글에서 로그아웃을 한 상태에서 검색을 하면 조금더 객관적인 검색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 상위노출 혹은 구글 SEO에 대해 더 궁금한점이 있는경우 저희가 쓴 구글 SEO 가이드북 총정리 2021를 읽어보세요.
*글은 마음껏 가져가셔도 됩니다😃 다만, (1)출처를 남겨주시고 (2) 꼭 퍼가시는 글에 원문“하이퍼링크“를 포함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