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구:웹마스터 도구) 완벽 가이드 2023

Hedley Digital logo white
서치콘솔이라고 검색하셨죠?
잘 찾아오셨어요.

구글 서치 콘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 엔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렇기에 SERP(검색엔진결과 페이지)상위 랭킹에 뜨기 위해서는 구글의 사이트 가이드라인을 잘 따르고 좋은 컨텐츠를 올리는 것과 더불어 사이트가 검색 엔진에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아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웹사이트를 소유한 전문가로부터 비전문가들은 이를 파악하고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 구글 서치 콘솔 (Google Search Console, 구: 웹마스터 도구) 을 이용하는데요, 이는 웹사이트의 내부 문제 해결은 기본으로 사용자들을 위한 더 좋은 퀄리티의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트를 통해 이 구글 서치 콘솔에 대해서, 그리고 어떻게 활용을 해야할지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콘솔은 구글 SEO에 관심이 있는 기업이라면 필수로 알아야할 툴 입니다.

SEO 가이드북 총정리 2021 글 바로가기 – 여기를 클릭

해외 SEO 어떻게 해야할까? 검색엔진 마케팅 가이드 2021 글 바로가기 – 여기를 클릭

구글 서치 콘솔(구:웹마스터도구)이란?

구글 서치 콘솔이란?

 

구글 서치 콘솔이란?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은 구글에 웹사이트를 검색했을 때 어떻게 보여지는지 그리고 어떻게 점검해야 하는지 도와주는 무료 플랫폼입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서 구글 서치콘솔로 이름 변경(Webmaster Tool -> Search Console)

구글 서치콘솔은, 2000년도 중반부터 약 10여년가까이 ‘구글 웹마스터 도구(Google Webmaster Tool)’ 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되었으나, 2015년도 경 웹사이트를 관리하는 웹마스터 분들만이 아닌 SEO 전문가, 마케터, 개발자 등도 활용할 수 있는 툴이 되고자 하는 의미에서 리브랜딩이 되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구글 서치 콘솔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구글에서는 아래처럼 말합니다:

  • 구글의 웹사이트 노출 횟수 및 크롤링 가능 여부 확인

  • 색인 상태 점검 및 문제 개선

  • 트래픽을 유발하는 관련 페이지 및 검색 키워드 분석

  • 사이트의 스팸 외 기타 문제 발견 여부

  • 관련된 사이트 분석

  • AMP (Accelerated Mobile Page), 모바일 사용 편의성 및 기타 검색 관련 문제 해결

이러한 이유들로 구글 콘솔은 전문가 및 비전문가인 웹사이트 소유자, 특히 디지털 마케터(SEO)들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Hedley Digital logo white
구글 SEO,
도움이 필요하세요?

구글 서치 콘솔 설정 방법

구글 서치 콘솔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으니 먼저 어떻게 설정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구글 계정에 로그인을 해야겠죠? 웹사이트가 개인용이 아니라면 반드시 사업 계정으로 로그인 하시고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속성 유형 설정 (Add Property)

로그인 후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로 가서 아래와 같은 속성 유형 설정 화면이 뜹니다. 속성 검색으로 들어가서 속성 추가를 먼저 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속성 추가 화면 - 1

 

구글 서치 콘솔 속성 추가

속성을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속성 선택 화면이 뜹니다.

구글 서치 콘솔 메인화면 - 1

 

구글 서치 콘솔 메인 화면

보이는 것과 같이 도메인 속성과 URL 접두어 속성이 있습니다.

도메인 속성

모든 서브도베인 (www,m,등)과 여러 프로토콜을 포함한 속성 유형입니다.

예를 들어 속성을 hedleyonline.com 이라고 지정했다면, 모든 경우를 추적할 수 있도록 설정이 됩니다.

도메인 속성 예시

 

도메인 속성 예시

이러한 사이트들도 다 포함이 되는 것입니다.

URL 접두사 속성

도메인 속성과 달리 프로토콜을 포함해 지정된 접두사가 있는 URL만 포함한 속성 유형입니다. 쉽게 말해, 다른 프로토콜이거나 서브도메인이 빠진 URL은 구글 서치 콘솔에서 추적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속성을 만약에 https://www.hedleyonline.com으로 지정했다면, https://www.hedleyonline.com/blog는 속성이 포함 되어 있기 때문에 추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http://www.hedleyonline.com/blog 와 https://hedleyonline.com/blog 같은 경우에는 각각 프로토콜이 다르고 서브도메인인 www가 없기 때문에 추적이 불가능해집니다. (SSL)

도메인 속성은 2019년에 업데이트가 된 속성 유형이기에 더 포괄적으로 추적하고 싶다면 이 유형이 편리합니다. 이와 다르게 특정 URL을 추적하고 싶으시다면 URL 접두사 속성을 추천 드립니다.

소유권 확인

속성 유형을 선택했다면 이제 사이트의 소유권을 확인해야 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은 사이트의 성능에 대한 정보를 내주기 때문에 사이트 소유권 확인은 필수입니다.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몇 가지만 아래에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HTML 파일: 웹사이트의 특정 위치에 확인 가능한 HTML 파일 업로드 하는 방법입니다.

  • 도메인 이름 공급 업체(Domain Name Provider): 도메인 등록 기관에 로그인 하여 구글 서치 콘솔에서 사이트를 확인하거나 DNS TXT 또는 CNAME Record를 추가하는 방법

  • HTML 태그: 해당 사이트 HTML 코드의섹션에 메타 태그 추가하는 방법, 사이트의 HTML 소스 코드를 수정할 수 있는 조건이어야 합니다.

  •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 사이트에 사용되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추적 코드를 사용하는 방법, 수정 액세스 권한이 있는 구글 계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사용 가능한 소유권 확인 방법에 대해 알고 싶으시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구글 서치 콘솔 사용법

이제 소유권을 확인했으니, 구글 콘솔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보겠습니다.

구글 콘솔 기능을 크게 실적(Performance), 적용 범위(Coverage), 개선 사항(Enhancements), 기존 도구 및 보고서로 나누어 보았는데요, 각각 하나 씩 무엇에 쓰이고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적 (Performance)

실적 메뉴는 메뉴를 클릭하면 두 번째 칸에 바로 보이는 항목이 바로 실적 메뉴이며, 말 그대로 해당 사이트의 전반적인 실적을 총 네 가지로 나눠서 보여줍니다.

이전 버전에는 90일 이전의 데이터 까지만 조회가 가능했지만 지금은 업그레이드로 인해 16개월 이전 기록까지 조회가 가능합니다.

아래의 네 가지 실적은: 총 클릭 수, 총 노출 수, 평균 CTR(사용자가 클릭하는 빈도의 비율) 과 평균 게재 순위로 이를 다 클릭하면 한꺼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실적 보고서 예시

 

구글 서치 콘솔 실적 보고서

이 리포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실적이 제일 높은 페이지 찾기

  • 낮은 클릭률을 가진 페이지 찾기

  • 키워드 별 클릭 수

  • 키워드 별 노출 수

이러한 결과들은 필터링을 해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특정 키워드를 검색어 필터에 추가하면 이 키워드가 포함된 검색어 및 클릭 수와 노출 수를 확인할 수 있거나, 각 기기 별 클릭 수와 노출 수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필터링 예시

 

구글 서치 콘솔 필터링 예시

색인 생성 범위 (Coverage)

구글 서치 콘솔에서 색인 생성 범위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페이지가 잘 색인이 되어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색인 유무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부분이 부족 한지에 대해서도 확인이 가능해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리포트 중 하나 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색인 생성 범위 보고서

 

구글 서치 콘솔 색인 생성 범위

위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색인 생성 범위 리포트는 네 가지 표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류(Error)

색인이 되지 않은 페이지를 나타냅니다. 색인이 되지 않은 경우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들을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출된 URL에서 Soft 404가 반환됨: 제출된 페이지를 찾을 수 없으나, 헤더에 잘못된 상태 코드가 전달되었을 경우입니다.

  • 리디렉션 오류: 301/302와 같은 리디랙션이 있으나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 제출된 URL를 찾을 수 없음(404): 제출된 페이지를 찾을 수 없는 경우입니다.

  • 크롤링 이슈: 페이지에 다양한 오류가 있을 수 있기에 일일이 확인해봐야 하는 경우입니다.

  • 서버 오류(5xx): 구글봇이 서버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경고 있음(Valid with warnings)

색인이 되었으나 페이지의 문제점을 발견했을 때의 경우입니다.

  • robots.txt에 의해 차단: 페이지가 robots.txt에 의해 차단이 되었으나 색인이 생성된 경우

  • 내용 없이 페이지 색인 생성: 구글에 의해 클로킹이 되었거나 색인을 생성할 수 없는 형식인 경우

유효(Valid)

구글에서 정상적으로 페이지를 색인 되었을 때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색인된 페이지의 수가 급증하거나 급락하는 것 또한 좋지 않기 때문에 구글봇에 의해 차단이 되었는지 noindex 태그가 페이지에 포함이 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제외됨(Excluded)

제일 주의해야 할 항목으로, 페이지가 색인 되지 않아 제외가 되었을 때를 나타냅니다. 제외가 되었다고 해서 항상 나쁜 경우는 아니므로 아래 상황을 참고해서 대처를 하도록 합니다:

  • 리디랙션 페이지: 현재 URL자체가 리디랙션이므로 색인 되지 않은 경우

  • robots.txt에 의해 차단: 구글에서 크롤링을 차단하고 있는 경우

  • 중복 페이지: 중복된 페이지가 있는경우

  • 캐노니컬 태그가 있는 페이지: 캐노니컬 태그가 잘 적용이 되어 있다면 구글에서는 다른 버전의 페이지를 찾게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니 안심해도 됩니다. 그러나 간혹 구글에서 비슷한 콘텐츠의 페이지가 여러 개 발견이 되는데, URL의 캐노니컬 태그가 인정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색인이 되어야 하는 페이지 제외 모든 중복된 페이지에 noindex 태그를 걸어야 합니다.

  • 크롤링 변칙: 페이지에 이상이 있는 경우. 대표적으로 404 페이지를 예시로 들 수 있다

  • 중복 페이지 및 URL이 표준으로 선정되지 않음: 해당 페이지를 구글에서 표준으로 지정하지 않았거나 중복이 된 경우

사이트 맵

구글에 의하면 사이트맵은 한 사이트에 올라가 있는 여러가지 콘텐츠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쉽게 말해서, 웹사이트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구글이 사이트를 크롤링 할 때 더욱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규모가 작고 미디어 파일이 많지 않거나 연결되는 링크가 많은 웹사이트는 사이트맵을 필수적으로 써야 할 필요는 없으나, 그에 반해 규모가 크고 링크 빌딩이 잘 되어있지 않거나 리치 미디어 콘텐츠 (영상 및 이미지 등)가 많지 않은 사이트는 이 기능을 쓰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GSC 사이트 맵 메뉴

 

구글 콘솔 사이트 맵

개선 사항 (Enhancements)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개선할 사항들 또한 구글 서치 콘솔의 대표 기능 중 하나입니다.

개선 사항 항목들을 통해 정형 데이터가 잘 적용이 되었는지 또는 AMP(Accelerated Mobile Page)가 접속이 잘 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코어 웹 바이탈(Core Web Vital):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겪는 경험(UX)을 보여줍니다.

모바일과 데스크톱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 느리거나 개선이 필요한 URL이 무엇인지 나타납니다.

보고서 열기를 클릭하면 어떤 링크에 문제가 있는지 자세한 설명을 해줍니다.

  • 모바일 사용 편의성 (Mobile Usability): 모바일 사용자들을 위해 모바일 관련 디자인 및 개발 문제를 나열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모바일 사용 편의성 화면

 

구글 서치 콘솔 모바일 사용 편의성

사용자가 모바일로 사이트를 접속했을 때 나타나는 오류를 나타냅니다.

페이지 스크린보다 큰 콘텐츠, 클릭할 수 있는 요소가 너무 붙어있거나, 폰트 사이즈 등이 대표적인 오류의 예시입니다.

이 모바일 사용 편의성을 이용해 AMP 페이지가 사용자들에게 어떻게 디스플레이가 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기존 도구 및 보고서

구글 서치 콘솔이 리브랜딩 되기 전부터 있던 도구들입니다.

국제 타겟팅 (International Targeting)

GSC 메뉴 - 기존 도구 및 보고서 - 국제 타켓팅 기능 도구

 

구글 서치 콘솔 국제 타켓팅 기능

보유한 웹사이트가 다른 나라 언어로 되어있거나 특정 나라를 타겟팅하고 있을 때 쓸 수 있는 도구입니다. 그 나라의 언어를 쓰고 있다는 것을 검색 엔진이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더 쉬울 것입니다.

이 도구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hreflang 태그를 필요로 하며, 사용자가 쓰는 언어에 따라 웹사이트 콘텐츠도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메세지

메세지는 구글과 연결이 되는 메인 소통 채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쉽게 말해서 구글 서치 콘솔내의 메일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발견한 에러 알림은 메세지로 가게 됩니다.

URL 매개변수 (URL Parameters Tool)

URL을 추적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그와 관련된 정보를 URL이 추적할 수 있게 됩니다.

Web Tools

Web Tool은 사이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가지 기타 도구입니다. 광고 리포트, 데이터 관리 도구 등이 있으며 이를 잘 활용하면 더 심도있게 웹사이트를 관리 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메뉴 - 기존 도구 및 보고서 - Web Tools

 

구글 서치 콘솔 Web Tools

링크

해당 웹사이트로 연결이 되는 링크를 보여주는 리포트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 링크 페이지

 

구글 서치 콘솔 링크

링크 수와 품질을 파악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입니다. 사용자들이 어떤 웹사이트를 클릭해서 보유한 페이지로 연결이 되는지, 그 링크들 중에는 어떤 링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외부 링크(External Link): 속성 외부에서 속성으로 연결되는 링크이며, 쉽게 말하자면 외부 사이트로부터 보유한 사이트로 연결되는 경우입니다. 흔히 백링크(Backlink)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백링크는 개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트래픽을 끌어 모으는 것이 용이합니다. 그러나 스팸성 사이트 같은 경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상위 링크 사이트 (Top Linking Sites): 백링크를 모니터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더보기를 누르면 백링크의 총 개수와 어떤 사이트가 보유한 웹사이트를 사용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내부 링크(Internal Link): 속성에서 속성으로 연결되는 링크, 즉 사이트 내에서 같은 사이트로 연결이 되는 경우입니다. 내부 링크를 첨부하면 같은 도메인의 웹사이트 트래픽 또한 많이 끌어모을 수 있습니다.

  • 상위 링크 페이지 (Top Linked Pages): 보유한 사이트의 페이지가 어떤 외부 사이트에 사용이 되었는지 볼 수 있습니다.

직접 조치 및 보안 문제

  • 직접 조치

사이트가 구글의 가이드라인을 위반했을 때 구글 서치 콘솔은 구글에서 직접 조치를 취하겠다는 경고를 날립니다.

직접 조치를 받게 된다면 검색 랭킹 순위에 영향을 줄 뿐더러 심할 경우 구글 검색 결과에서 제거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직접 조치는 사이트에서 스팸성 요소가 보일 때 받는 경고입니다.

예를 들어 클로킹을 했거나 AMP 콘텐츠의 불일치 같은 정황이 보이면 직접 조치 경고를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직접 조치를 클릭했을 때 아무것도 뜨지 않는 것이 제일 안심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GSC 직접 조치 경고 예시

 

집적 조치 경고 예시

  • 보안 문제

보유한 사이트에 악성 소프트웨어가 감지 되었거나 해킹 의심이 될 때 구글 서치 콘솔에서 보안 경고를 보냅니다.

GSC 보안 문제 예시 - 문제 없을 때

 

구글 서치 콘솔 보안 문제

보안에 문제가 없을 땐 위 예시처럼 게시됩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면 어떤 이슈를 발견 했는지에 대한 리스트가 나옵니다. 사이트 소유자는 구글에 문제 해결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GSC 보안 문제 예시 - 문제 있을 때

 

구글 서치 콘솔 보안 문제

같은 기능으로 위에 소개된 메세지에도 이와 관련된 알림이 뜨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크롤링 통계 (Crawl Stats)

구글이 웹사이트를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크롤링 하는지 보여주는 통계입니다.

GSC - 설정 - 크롤링 통계 화면

 

구글 서치 콘솔 크롤링 통계

크롤링이 빨리 되는 경우에는 구글봇이 사이트를 빠른 속도로 색인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빠른 속도로 더 많은 사이트를 크롤링 할 수록 더 좋은 성적이 나오는 것이죠.

크롤링 통계는 총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1. 총 크롤링 요청 횟수: 사이트에 요청된 총 크롤링 수 입니다.
  2. 총 다운로드 크기: 크롤링 중 다운로드된 모든 파일과 리소스의 크기이며, 이전에 클로링 때 캐시된 리소스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파일 종류는 HTML, 이미지, 스크립트 파일 등이 있습니다.
  3. 평균 응답 시간: 페이지 콘텐츠를 가져오기 위한 크롤링 요청 평균 페이지 응답 시간입니다.

GSC 크롤링 통계 보고서

 

구글 서치 콘솔 크롤링 통계

위 세 가지 기준 뿐만 아니라 크롤링 요청 측정기준별 내역 및 보고서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SC 호스트 상태 보고서

 

구글 서치 콘솔 호스트 상태

호스트 상태를 통해 사이트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어떤 상태인지 카테고리 별로 알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는 각 카테고리를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1. robots.txt 가져오기: 크롤링 할 때 robots.txt 파일을 요청하는데 요청 오류가 하루 기준치를 초과했을 때의 문제를 표시합니다.
  2. DNS 변환: DNS 서버가 호스트의 이름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크롤링 응답을 하지 않을 때 문제를 표시합니다.
  3. 서버 연결: 서버가 응답하지 않거나 크롤링 중 URL 전체 응답이 되지 않을 때 문제를 표시합니다.

크롤링 통계를 통해 호스트 상태는 어떤지, 각각 다른 측정 기준으로 크롤링이 어떻게 되었는지 또한 확인할 수 있으니 보고 싶은 기준을 선택해서 분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크롤링 요청 측정기준별 내역

 

구글 서치 콘솔 측정기준별 내역

무료 상담

이로써 구글 콘솔에 대한 간략한 가이드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거나 추가 피드백이 있으시다면 댓글 꼭 남겨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진 점이 있으시면 헤들리와 무료 상담을 받아보세요.

헤들리의 구글 서치 콘솔 완벽 가이드북을 통해 개념부터 적용까지 완벽하게 마스터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요?

Hedley Digital logo white
더 커진 매출과, 효과적인 노출!
새롭고 강력한 SEO 서비스를 시작하세요.

*글은 마음껏 가져가셔도 됩니다😃 다만, (1)출처를 남겨주시고 (2) 꼭 퍼가시는 글에 원문“하이퍼링크를 포함해주세요 !

Are you ready to grow?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