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Sitemap) 만드는법 가이드북 총정리 2021

Hedley Digital logo white
사이트맵이라고 검색하셨죠?
잘 찾아오셨어요.

사이트 맵 (sitemap)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이 사이트 맵에 대해서, 그리고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검색 엔진 최적화 (SEO) 관련해서 더 알고 싶으시다면 헤들리 디지털의 SEO 가이드북을 확인해주세요.

구글 SEO 가이드북 총정리 2021 글 바로가기 – 여기를 클릭

robots txt 링크 걸기 글 바로가기 – 여기를 클릭

사이트 맵 (sitemap) 이란?

사이트 맵이란?

 

사이트 맵이란?

사이트 맵은 쉽게 말해 페이지를 소개하는 목차의 역할을 합니다.

사이트의 어떤 페이지가 중요한지, 그리고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이 사이트를 크롤링 할 때 가이드를 해주는 것이 바로 사이트 맵입니다.

사이트 맵은 구글에게 사이트에서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보 및 페이지를 제공합니다.

다시 말해, 사이트 맵은 웹 크롤러가 사이트를 문제 없이, 쉽게 크롤링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해주는 중요한 테크니컬 SEO 입니다.

사이트 맵은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라는 말도 있지만 있으면 검색엔진이 사이트를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겠죠?

아래에 설명되어 있는 사이트 맵이 언제 필요한지를 보시고 해당 상황에 처해 있다면 사이트 맵을 활용하는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

사이트 맵 종류

사이트 맵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 XML 사이트 맵

XML 사이트 맵은 검색 엔진과 크롤러가 웹사이트의 페이지를 발견할 수 있게 합니다.

이 사이트 맵은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에게 웹사이트의 URL을 제공하며 사이트 내 모든 페이지의 맵을 전달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검색 엔진은 어떤 페이지를 우선적으로 크롤링 할지 정하게 됩니다.

XML 사이트 맵은 크롤링 시간이 다소 걸리는 규모가 큰 웹사이트에게 적합합니다.

굳이 일일히 다 크롤링 하는 것 보다 필요하고 중요한 페이지를 크롤링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 HTML 사이트 맵

XML 사이트 맵과 다르게 HTML 사이트 맵은 웹사이트 방문자들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 맵은 방문자들이 특정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HTML 사이트 맵은 웹사이트 방문자들이 클릭할 수 있게 게시 되어 있습니다.

헤들리 디지털 같은 경우에도 웹사이트 하단에 아래와 같이 방문자들이 클릭을 할 수 있도록 HTML 사이트 맵을 설정했습니다.

헤들리 디지털 HTML 사이트 맵

 

헤들리 디지털 HTML 사이트 맵

위의 두 가지 사이트 맵 뿐만이 아니라 아래의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동영상 사이트 맵: 동영상 콘텐츠를 읽을 수 없는 크롤러가 이 콘텐츠를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사이트 맵입니다.
  2. 이미지 사이트 맵: 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를 구글이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사이트 맵입니다.
  3. Google 뉴스 사이트 맵: 구글이 뉴스 콘텐츠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사이트 맵입니다.

사이트 맵이 필요할 때?

그렇다면 사이트 맵은 언제 도움이 될까요?

  • 백링크가 많지 않은 새로운 사이트

웹사이트가 만든 지 얼마 되지 않고 외부 백링크가 많지 않은 상태라면 도움이 됩니다.

구글은 웹페이지를 링크를 통해 찾기 때문에 이러한 사이트는 발견되기 쉽지 않습니다.

설사 링크가 많이 걸려 있지 않아도 사이트 맵으로 정리를 잘 해 놓으면 구글이 사이트를 찾기 더욱 수월해집니다.

  • 내부적으로 링크 연결이 잘 되어있지 않은 사이트

사이트 내의 페이지가 연결이 잘 되지 않으면 구글은 몇 페이지를 찾지 못합니다.

사이트 맵으로 이러한 페이지를 표시하게 되면 크롤러 또한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 큰 사이트

사이트의 규모가 너무 크면 크롤러가 콘텐츠 또는 페이지를 발견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사이트 맵으로 정리를 해 놓으면 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업데이트 또한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리치 미디어

동영상 또는 이미지가 많이 포함된 사이트 같은 경우에는 크롤러가 인식할 수 없습니다.

사이트 맵으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면 크롤러가 쉽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맵 중요성

위의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웹사이트 소유자들은 그래도 사이트 맵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트 맵은 검색엔진 최적화에 큰 도움을 주는 일종의 도구입니다.

사이트 맵으로 검색 엔진은 웹사이트의 페이지 수, 어떤 페이지로 구성이 되어있는지, 얼마나 자주 업데이트가 되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표하는 키워드를 사용자들이 검색했을 때 검색 엔진이 사이트 맵을 통해 웹사이트를 분석한 후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하면 자연스레 검색 결과에 상위로 뜹니다.

잘 구성이 되어있는 사이트 맵으로 페이지 정리 뿐만 아니라 구글 상위 노출까지 할 수 있으니 SEO를 위한 매우 중요한 도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이트 맵 설정하기

이제 사이트 맵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 맵 만들기

사이트 맵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 Yoast SEO 플러그인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Yoast SEO 플러그인을 사용해 사이트 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으로 타이틀, 메타 디스크립션 그리고 오픈 그래프 태그까지 큰 어려움 없이 넣을 수 있습니다.

우선 Yoast SEO 플러그인 대쉬보드로 들어가 Features 탭을 클릭합니다.

Yoast SEO 플러그인 Features

 

Yoast SEO 플러그인 Features

XML 사이트 맵 기능을 키고 저장하면 사이트 맵을 자동으로 생성해 루트 디렉터리에 입력합니다.

Yoast SEO 플러그인 - XML 사이트 맵

 

Yoast SEO 플러그인 – XML 사이트 맵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서는 루트 디렉터리/sitemap.xml을 주소창에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Yoast SEO 플러그인의 제일 큰 장점은 페이지가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업데이트는 바로 웹사이트에 새로 추가된 블로그 콘텐츠 또는 상품을 설명하는 페이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이트 맵을 일일이 업데이트 하지 않아도 되기에 매우 편리합니다.

  • 사이트 맵 제작 사이트

워드프레스 또는 Yoast 프로그램을 쓰지 않는다면 직접 사이트 맵을 제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XML-sitemaps.com이 바로 대표적인 사이트 맵 제작 사이트인데요, 접속 후 보유한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사이트 맵 제작 사이트

 

사이트맵 제작 사이트

More Options를 누르면 추가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맵 제작 사이트 추가 옵션

 

사이트맵 제작 사이트 추가 옵션

  1. Page Last Modification: 최근에 변경된 URL을 추가하게 설정하면 변경되지 않은 페이지를 크롤러가 재크롤링하지 않습니다.
  2. Calculate Page Priority: Page Depth에 따라 페이지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Change Frequency: 콘텐츠의 업데이트가 얼마나 자주 되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설정입니다. 원하는 설정에 맞출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추가 옵션을 설정했다면 바로 사이트 맵을 제작하면 됩니다.

사이트 맵 리스트

 

사이트맵 리스트

구글 서치 콘솔 제출

만들어진 사이트 맵은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해야 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맵 메뉴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메뉴

구글 서치 콘솔 메뉴에 sitemaps를 클릭하면 사이트 맵을 입력해 제출할 수 있는 페이지가 뜹니다.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맵 입력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입력

칸에 사이트 맵 URL을 입력한 후 제출하면 완료가 됩니다.

모든 것이 설정이 되었으면 사이트 맵 페이지에 잘 제출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 맵 제출 확인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제출 확인

클릭을 하면 사이트 맵의 색인이 잘 되었는지 상태가 뜹니다.

구글 서치 콘솔 색인 확인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색인 확인

색인 생성 리포트를 보고 싶다면 색인 생성 범위 보기를 클릭하면 구글이 해당 사이트 맵에 몇 개의 URL을 찾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색인 범위 확인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색인 범위 확인

제외되었거나 오류가 있는 사이트 맵이 어떤건지 볼 수 있으며 불필요한 사이트 맵이 보인다면 제거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의 색인 생성 리포트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주의 사항

사이트 맵을 설정할 때 알아두기 좋은 몇 가지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 대형 사이트 맵 나누기

많은 URL을 보유한 사이트 같은 경우에는 크롤러로부터 색인이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큰 사이트 맵을 분할해 소형 사이트 맵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한 사이트 맵에 최대 50,000개의 URL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압축 전 50MB를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 표준 URL 표시

한 페이지에 두 가지 버전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검색 결과에 표시가 되길 원하는 버전만 사이트 맵에 등록해야 합니다.

  • 정확한 URL

사이트 맵에 포함할 URL은 매우 정확해야 합니다.

헤들리 디지털의 사이트를 예시로 들면, https://www.hedleyonline.com/ko/ 를 그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www를 누락 시키거나 다른 URL을 접목 시키면 크롤링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 hreflang 사용

웹사이트가 다른 언어 버전이 있다면 구글에게 hreflang를 사용하여 대체 언어 버전을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

이럴 경우 사이트 맵이나 HTML 태그로 hreflang을 사용하면 됩니다.

  • 기호 및 특수 문자

몇 개의 특수 문자는 사용을 할 수 없으며 다른 방법으로 표시를 해야 합니다.

사용할 수 없는 특수 문자의 예는 *, {} 등이 있습니다.

사이트 맵의 파일은 UTF-8로 인코딩해서 써야 하며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서버가 URL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인코딩 해주기 때문입니다.

사이트 맵 기호 및 특수 문자 표기 방법

 

기호 및 특수 문자 표기 방법

  • 모바일 버전 & 데스크탑 버전 URL

간혹 모바일과 데스크탑의 URl 버전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한 가지 버전에만 사이트 맵을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나 두 버전에 연결을 하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해 방법을 확인 해보세요.

마무리

이렇게 사이트 맵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설치를 해야 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robots.txt와 같이 SEO를 위한 매우 중요한 테크니컬 SEO임으로 잘 활용하시면 웹사이트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사이트 맵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아래 댓글을 달아주시거나 헤들리 디지털과 무료 상담을 받아보세요!

Hedley Digital logo white
구글 상위노출,
도움이 필요하세요?

*글은 마음껏 가져가셔도 됩니다😃 다만, (1)출처를 남겨주시고 (2) 꼭 퍼가시는 글에 원문“하이퍼링크를 포함해주세요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