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SEO

해외 SEO 서비스를 찾고계신가요?
전세계 대기업의 성장의 순간과 함께한 SEO 및 해외 마케팅 전문 에이전시
헤들리 디지털과 함께하세요.

해외 SEO | 간편 패키지

해외 SEO | 기업 솔루션

해외 SEO란 무엇인가요?

해외 SEO란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해외의 검색엔진에서 작업하는 SEO를 의미합니다. 해외 SEO는 해외에서 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케팅 전략중 가장 비용대비 효과가 높은 마케팅 전략중 하나이며, 나의 사이트를 특정 타겟 키워드로 최적화 하여 검색엔진의 상위에 노출시키는 전략입니다.
예를들자면, “뉴욕 로펌”이라는 키워드를 구글에 검색을 했을 때, 나의 로펌이 구글의 상단에 노출된다면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트래픽으로 인해 매출이 상승할 것입니다.

해외 SEO는 누구에게 필요한가요?

해외로 진출을 할 예정이거나, 해외 마케팅이 필요한 경우 혹은 지금 웹사이트의 트래픽을 다음 레벨로 한 단계 올리고 싶거나, 급격하게 성장하는 구글 검색엔진을 선점하여 장악하고 싶은 경우 등 모든 경우에서 해외 SEO 검색엔진 마케팅이 필요합니다.

오늘도 35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구글에 검색을 하고 있으며, 해외 마케팅에서 SEO는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요소입니다.

Hedley Digital Marketing Agency in Melbourne SEO, PPC - seo graph
Hedley-Digital-Marketing-Agency-in-Melbourne-SEO,-PPC---Google-ranking

해외SEO 작업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해외 SEO 검색엔진 최적화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어떤 프로세스와 알고리즘으로 해외 검색엔진에 상위노출될 수 있는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헤들리 디지털에서는 해외 SEO 서비스를 목적과 범위에 따라 두가지로 나누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 간편 해외 SEO 패키지 >
B) 기업 해외 SEO 솔루션 >
 
자세한 해외SEO 작업 프로세스는 각 서비스의 상세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SEO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요?

구글의 경우 타이틀/메타 테그, 스키마 마크업, 키워드 맵핑 등 온사이트 SEO부터, 사이트의 DA, 오프페이지 링크 연관성(relevancy)등 알려진 SEO요소만 해도 200가지가 넘습니다. 이러한 SEO 요소들을 우선순위별로 정렬하고 적용하여, 원하는 타겟 국가/시장에 최적화 하는것이 해외 SEO의 가장 이상적인 최적화 작업 방식입니다.

해외 트래픽 상승의 비밀

해외 SEO는 전세계에서 가장 ROI(투자대비수익률)가 높은 장기적인 디지털 마케팅 전략입니다. 단기적인 결과를 원하는 경우 SEM(PPC) 광고를 하는것이 적합하고, 장기적으로 해외 시장 키워드 및 트래픽을 하나씩 점유하며 웹사이트의 기초체력을 높이고 싶으시다면 해외SEO 전략이 필수입니다. 

카카오, 볼보, 하버드대학교 및 수많은 E-commerce 쇼핑몰, B2C, B2B, 로펌, 병원, SaaS 회사와 함께한 헤들리 디지털과 함께 하세요.

헤들리 디지털 SEO 트래픽 상승
Hedley Digital Marketing Agency in Melbourne SEO, PPC - local SEO

해외 SEO 월 작업 보고서

SEO회사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도대체 어떤 작업을 하는지 몰라 답답했던적이 있으신가요? 

헤들리 디지털은 매달 진행되는 해외SEO 작업 내용을 낱낱히 매월 제공되는 보고서에 기록한 후 제공해 드립니다. 메타테그, 스키마 마크업, 백링크 생성방식(100% 화이트햇), 301/404 해결, SEO 콘텐츠 제작, 키워드 리서치 자료, 웹사이트 분석 보고서 등 한눈에 보이는 결과물 보고서를 매월 제공해 드립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자주하는 질문 FAQ

해외 SEO란 북미주, 유럽, 동남아 등 해외 검색엔진 마케팅의 중요한 전략중 하나로써, 해외에서 진행하는 검색엔진마케팅(Search Engine Optimization)을 뜻합니다.

해외SEO를 작업하지 않는다면 해외의 고객이 구글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나의 사이트가 해외에있는 잠재 고객에게 노출되기 어렵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해외 SEO 전략입니다.

화이트햇 SEO란 구글의 가이드라인을 지키며 웹사이트를 최적화 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기업사이트의 경우 

블랙햇 SEO란 구글의 검색엔진 최적화 가이드 라인을 따르지 않고, 봇이나, 자동 백링크 생성기 등의 비윤리적이고 구글 가이드라인에 위배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단노출을 시키는 마케팅 기법입니다. 블랙햇 SEO는 때로는 화이트햇 SEO보다 효과적이고 빠르다고 느껴질 수 있으나, 개인이 구글 엔지니어와 봇의 수십년간의 노하우와 집단지성을 회피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많은 웹사이트들이 블랙햇 SEO 마케팅기법을 사용하여 구글에의해 사이트가 블랙리스트가 많이 있으며, 한번 블랙리스트 된 웹사이트는 복구하기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헤들리에서는 구글 가이드라인을 명확하게 지켜 100% 화이트햇 SEO기법만을 사용하여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구글 상단 노출을 하기위해 SEO에 투자하는 금액이 약 5조를 초과하였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유는 단 하나, 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대비 수익률) 때문입니다. SEO 마케팅은 디지털 마케팅 전략중 가장 ROI가 뛰어난것으로 증명이된 장기적인 마케팅 전략입니다. 작은 기업부터, 중견, 대기업까지 SEO에 엄청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붇고 있고 그에 상응하는 트래픽을 얻어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들이 전세계에 넘쳐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경우 네이버의 존재로 인해 이 현상이 늦춰지긴 했지만, 2019년을 기준으로 국내 구글 점유율이 30%를 초과함으로써, 네이버의 몰락 혹은 구글의 시대가 온다고 마케터들은 표현하고 있습니다.

SEO 검색엔진 최적화는 절대평가가 아닌 상대평가입니다. 더 자세히 말해, 구글의 첫페이지는 총 검색 트래픽의 91%를 차지하고 있고, 구글의 첫 페이지 상단의 3개의 오가닉 웹사이트는 모든 트래픽의 75%를 가져가고 독점을 하고 있습니다. 매일 수천개의 새로운 웹사이트가 생겨나고 있으나, 구글의 첫페이지는 항상 수십억개의 웹사이트중 딱 10개만을 선택해 노출을 시키며, 검색엔진 최적화는 10등안에 들거나 혹은 3위권 안에 들어야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해외의 경우 수십년전부터 구글을 사용해왔기 때문에 키워드 경쟁이 상당히 치열하고 상단노출이 쉽지 않으나, 국내의 경우 아직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마케팅에 대해 보수적이거나 생소한 기업들이 많아 경쟁률이 비교적 낮은 블루오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과같이 아직 국내시장에서 구글이 성장하고 있는 시기에 구글 SEO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을 진행한다면, 우위선점하여 후발주자들에 비해 더 큰 결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닙니다. 다만, 저희의 구글 검색엔진에 관한 포트폴리오와, 지식 그리고 전세계에서 스카우트한 글로벌 인재들과 경력 그리고 결과물에 비하면 매우 합리적인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비즈니스에 상황과 목표에 따라 업무량과 난이도가 현저하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견적에 관한 문의는 [email protected] 으로 주시면 친절하게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질문해 주시지만, 참 답하기가 쉽지않은 질문입니다.

이 질문은 예를들자면, "피아노를 배우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라고 질문하는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단순히 간단한 멜로디를 익히는건 하루만에도 할 수 있지만, 원하는 곡의 난이도와, 테크닉, 피아노를 얼마나 배웠는지 혹은 처음 배웠는지 등 여러가지 요소들을 함께 생각해봐야 합니다.

SEO도 마찬가지 입니다. 현재 웹사이트 최적화가 얼마나 되어있는지, DA(Domain Authority, 도메인 스코어)는 몇점인지, Trust Flow(신뢰도)는 어떤지, 온사이트 SEO는 되어있는지, 예산을 얼마인지, 원하는 결과와 목표는 무엇인지 등에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주 간단한 SEO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은 3개월부터 시작하오나, 대부분의 경우 최소 6~12개월 등의 구글 SEO 최적화 작업을 해야 훨씬 더 좋은 투자대비 수익률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웹사이트가 생긴지 얼마 안되었을 경우(보통 3년미만), 구글의 신뢰도(TF)와 DA(구글 스코어, Domain Authority)가 0에 가까워, 웹사이트에 작업을 해도 보통 4~8주 이후에 검색엔진에서 바뀐 모습을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반대로, 위키피디아의 경우 DA가 90을 초과하여, 위키피디아 내에 내용을 수정하는경우 수분내로 구글이 인덱싱하여 바로 전세계에 수정사항이 적용이 되는 차이가 있습니다.

헤들리 디지털은 투명성과, 신뢰 그리고 고객과의 친구같은 유대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구글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 에이전시 입니다.

헤들리 디지털은 하버드대학교, 볼보와 같은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와 함께 작업을 했고, 미국 포브스, ABC 그리고 여러 메이저 매체들이 "One of the fastest-growing digital marketing agencies(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마케팅 에이전시)" 라고 소개되었습니다. 2020년도에는 포브스 기업 위원회에 공식 멤버로 노미네이트 및 초청을 받았고, 현재 포브스지에 디지털 마케팅의 전문가로 인정받아 디지털 마케팅과, 검색엔진 최적화, SEO, PPC(Pay-per-click) 등에 관한 글들을 기고하고 있습니다.

구글 SEO에 관한 자료들은 영어자료가 99%이상이며, 한글로 번역된 전문가 자료들은 많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헤들리의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들은 대부분 영어가 모국어인 외국인들이 많으며 한글로 설명이 되어있지 않은여러 외국 대기업들이 사용하는 고급 SEO 최적화 전략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미국,영국, 호주에 걸쳐 클라이언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헤들리의 팀원들은 클라이언트를 단순히 클라이언트라 생각하지 않고, 같은 회사에 소속되어 같은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같은회사의 마케팅부서(Extended marketing deaprtment)라는 생각으로 항상 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과, 구글 SEO 검색엔진 최적화, 혹은 구글 PPC 구글 애즈 등에 관해 궁금하신점이 있다면 언제든 연락주시면 친절하게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EO와 PPC 는 구글 상단노출을 위한 검색엔진 마케팅 전략이라는 목표는 같으나, 여러가지 다른점이 있습니다.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의 경우 구글의 검색엔진 가이드 라인에 따라 온사이트 SEO, 오프사이트 SEO, 컨텐츠 마케팅 등을 이용하여 구글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자연스럽게 상단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오가닉 트래픽(Organic traffic)이라고 지칭합니다.

반면 구글 PPC(pay-per-click) 검색엔진 광고 마케팅의 경우, 광고주가 구글에게 특정 키워드를 지정하여 광고를 하는것으로 구글 크롤러의 SEO 알고리즘에 의해 상단노출이 되는것이 아니라, 구글 에드의 키워드 비딩 (keyword bidding) 알고리즘에 따라 훨씬 수월하게 상단노출이 되는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광고와는 다르게, 상단노출이 되어도 광고주에게 과금이 되지 않으며 광고가 실제로 클릭이 되는 순간 광고주에게 약 1~10달러 선에서 과금이 되는것이 특징입니다.

Hedley Digital logo white
해외 SEO라고 검색하셨죠?
잘 찾아오셨어요.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이 많아지면서 해외 시장을 타겟으로 한 해외 SEO에 대한 중요도가 점점 더 부각되고 있습니다.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구글의 점유율이 압도적이지만 네이버에 익숙한 대부분의 국내 기업에게는 SEO와 같은 해외 검색엔진 마케팅이 풀기 어려운 숙제로 다가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세계 구글의 점유율은 약 90%에 육박하기 때문에 해외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에서는 구글 SEO 및 해외 검색 엔진 마케팅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빠른 성과를 위해 관련성이 없거나 스팸지수가 높은 사이트등에 무작위로 백링크 작업을 하거나, 기타 블랙햇 SEO을 사용하여 단기간에 성과를 보려 한다면 장기적으로 웹사이트의 품질스코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해외진출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으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구글 SEO에 대한 모든것 글에서 조금더 자세히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홈페이지를 단지 외국어로 번역만 하면 해외 SEO 및 해외 검색 엔진 마케팅이 해결되는 걸까요?

성공적인 해외 SEO 및 검색엔진 마케팅을 위해선, 단순 번역외에 “현지화” 전략이 함께 동반되어야 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는 해외 진출을 염두하고 있는 기업들을 위하여 해외 검색 엔진 마케팅 및 SEO의 중요성과 이를 활용하여 어떻게 장기적으로 키워드를 검색엔진 상단에 노출시켜 트래픽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인 해외진출 및 해외 매출증대를 불러올 수 있는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해외 SEO란?

해외 SEO란 다른 국가에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을 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들어, 국내기업이 미국시장에 진출하고 싶은데 미국에서 자사 브랜드 관련 키워드가 검색이 되지 않는다거나 하는 경우 해외 SEO 검색엔진 마케팅 작업을 한다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Hreflang 태그, 현지화된 키워드 리서치 및 기타 여러가지 최적화 전략이 있는데,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여 해외시장에 있는 타겟 사용자에게 사이트와 콘텐츠를 노출하는 SEO 전략입니다.

구글은 검색결과를 사용자의 언어와 위치와 일치하도록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타겟 시장에 맞춰 SEO를 제대로 구현한다면 타겟 국가와 소비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잘 노출하고 더 나아가 장기적인 오가닉 트래픽의 향상과 점진적 키워드 점유 그리고 결과적으로 매출의 증대와 성공적인 현지 시장 진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 SEO는 누구에게 필요할까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 기업에게 필요합니다.

International-seo_Hedley-digital_해외-SEO_헤들리-마케팅-1

  • 해외 고객을 상대로 비즈니스를 하고있으나, 해외에서 트래픽 유입이 없거나 적은 경우
  • 비즈니스의 해외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경우
  • 해외에 제품출시나 지사 설립을 앞둔 개인이나 기업
  • 자사 사이트에 방문하는 외국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은 개인이나 기업

해외 검색 엔진 마케팅은 왜 필요할까요?

해외진출을 할때 해외 SEO는 왜 필수적으로 해야할까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즈니스를 안정적으로 성공시키기 위해서

SEO 혹은 PPC등은 해외에서 매우 보편적인 온라인 마케팅 전략입니다.

우리나라의 ‘네이버’처럼 구글도 마찬가지로 해외에서는 동네에 하나씩 있는 열쇠공같은 소규모 사업자들도 공격적으로 광고와 SEO를 집행할 만큼, 해외시장에서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은 매우 일반화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해외 SEO 및 검색엔진 마케팅 없이,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여 성공한다는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물론 화장품과 특정 틈새시장의 경우 인플루언서 마케팅이나 SNS 콘텐츠 마케팅등을 통해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나, 대부분의 국제적인 기업 및 국내에 진출한 해외 기업들도 항상 SEO 예산을 매년 측정해두는것이 일반적인 일입니다.

이처럼 SEO가 잘 이루어져 타겟 키워드들이 안정적으로 타겟 국가에서 상위노출이 되고 있다면, 장기적으로는 크게 마케팅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안정적인 매출 및 전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틈새시장을 전략적으로 공략하기 위해

잘 분석된 현지화된 타겟 키워드 리서치가 동반된다면, 해외 검색 엔진 마케팅은 해외 틈새시장을 발빠르게 공략하여 선점하고 비즈니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잘 이용하면 치열한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낮은 경쟁률 속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는 기회도 엿볼 수 있습니다.

SEO를 통해 타겟 국가의 시장현황과 경쟁률을 분석하여 유리한 전략을 세울 수 있으며 고객의 리드를 높여 비즈니스가 국제적으로 성장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해외 검색 엔진 마케팅(SEO)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국제시장에서 성공적인 SEO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세밀하고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 가장 기본적인 4가지 방법만을 추려 설명하겠습니다.

  1. 현지 마켓 리서치 하기
  2. 현지 키워드 조사하기
  3. Hreflang 셋업하기
  4. 해외 SEO에 친화적인 URL 구조 세팅하기

시장조사(Market Research)

해외 SEO를 시행하기 전 우선 시장조사를 해야 합니다.

시장조사의 경우 먼저 여러분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관심을 가질수 있는 잠재고객을 정의해야겠죠?

잠재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어떤 점이 중요한지, 또 이들은 어떤 방법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찾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이후, 홈페이지 최적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떤 나라에서 트래픽이 증가하였는가?
  • ccTLD (예 : example.co.kr / example.co.jp / example.co.fr)를 사용하는가?
  • 경쟁사들은 어떤 시각, 텍스트 콘텐츠를 제공하는가? (현지 콘텐츠 리서치하기)
  • 홈페이지에서 현지 통화로 결제가 가능한가?
  • 홈페이지에서 현지 언어로 라이브 챗 (Livechat)을 제공할 것인가?
  • 제품이나 서비스가 현지 법률과 문제가 없는가? (현지 법률 조사하기)

*ccTLD란?
country code Top Level Domain의 약자이며 각 나라에서 주어진 도메인 이름을 뜻합니다.
보통 웹 사이트가 등록 된 국가나 지역을 나타내며 한국의 경우 co.kr, 일본의 경우 co.jp, 프랑스의 경우 co.fr 등이 있습니다.

또한 구글 이외에도 각 나라별 어떤 검색엔진을 사용하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 인포그래픽은 각 나라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엔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미국 : 1위 구글(88.1%), 2위 빙(6.16%), 3위 야후(2.96%)
  • 일본 : 1위 구글(77.1%), 2위 야후(17.9%), 3위 빙(4.6%)
  • 중국 : 1위 바이두(74.3%), 2위 Sogou(16.7%), 3위 Haosou 와 Shenma 각각 (3%)
  • 영국 : 1위 구글(92.9%), 2위 빙(4.9%), 3위 야후(1.4%)
  • 프랑스 : 1위 구글(91.73%), 2위 빙(4.27%), 3위 야후(1.17%)
  • 독일 : 1위 구글(90.47%), 2위 빙(6.14%), 3위 Ecosia(1.07%)
  • 브라질 : 1위 구글(96.84%), 2위 빙(1.77%), 3위 야후(1.07%)
  • 호주 : 1위 구글(94.08%), 2위 빙(3.96%), 3위 DuckDuckGo(0.9%)
  • 러시아 : 1위 구글(52.03%), 2위 YANDEX(45.35%), 3위 Mail.ru(1.11%)
  • 인도 : 1위 구글(98.87%), 2위 빙(0.71%), 3위 야후(0.34%)

중국을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구글의 점유율이 상당히 높은것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구글 및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틈새 시장을 잘 공략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검색엔진의 경우 중국은 Baidu, 러시아는 Yandex, 일본과 홍콩에서는 Yahoo도 많이 쓰입니다. (단, 구글이 아닌 다른 검색엔진은 구글과 다른 알고리즘이 적용되니 유의하세요.)

모바일의 경우는 중국은 위챗(WeChat), 러시아는 텔레그램(Telegram), 일본은 라인(Line), 미국은 WhatsApp 이 많이쓰이므로 전자상거래 비즈니스라면 이러한 모바일 어플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 키워드 조사

키워드 조사는 검색엔진 최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중 하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현지 키워드 리서치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아, 엉뚱한 키워드를 타겟팅하여, 낮은 전환율과, 전환율이 낮은 오가닉 키워드등에 구글애즈(PPC)와 웹사이트 콘텐츠(SEO)등에 잘못 맵핑(keyword mapping)하여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수십억원까지 손해를 보는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키워드는 상위 퍼널, 중위 퍼널, 하위 퍼널 키워드로 구분해서 랜딩페이지와 같이 각 목적에 맞는 웹사이트 페이지에 올바르게 배치(mapping)해야 합니다.

특히 해외 SEO를 진행하는 경우 국내에서 조사한 키워드를, 단순하게 번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추후 큰 손실을 불러올 수 있는 실수입니다.

예를들어 한국사람들은 음식을 포장하는 행위를 테이크 아웃(Take out)이라고 표현하지만, 미국에서는 투고(To go), 호주에서는 테이크 어웨이(Take away)라고 다르게 표현하는것과 같이, 이러한 잘못된 키워드들을 사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경우 발생하는 기회비용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만약 내부에 원어민 인력이 있는 경우 이를 최대한 활용하고, 없는 경우에는 영어권 국가에 본사를 두고 있는 헤들리 디지털과 같은 해외 SEO에 특화된 에이전시에게 의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미국처럼 같은 나라라도 지역별 문화적 특성이 강한 나라는 (예: 뉴욕, 시카고, 로스앤젤레스) 지역별로 사용되는 언어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타겟 하려는 시장에 따라 실제로 사용되는 키워드를 명확하게 조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Hreflang Tag 적용

Hreflang은 웹사이트에서 특정 지역이나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검색엔진에 알리는 코드입니다.

구글과 같은 해외 검색 엔진은, hreflang을 통해 웹페이지의 언어를 쉽게 감지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자가 쓰는 언어와, 웹사이트의 언어를 일치시키거나 하는 기능이 가능해집니다. 예를들어 구글과 같은 다국어 지원 사이트에서 일본어 사용자는, 영어나 한국어가 아닌, 일본어 콘텐츠를 자동으로 보게됩니다.

물론 구글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언어를 통해 언어를 감지할 수 있지만, 이 외에도 사용자의 검색 기록, 위치, 사용중인 구글 도메인(예 : google.com이 아닌 google.fr 또는 google.de)등 여러 데이터들을 함께 조사합니다.

워드프레스 사용자의 경우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hreflang 태그를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태그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hreflang =“languagecode-countrycode”입니다

아래는 애플사의 hreflang 태그 예시입니다.

rel="alternate" href="https://www.apple.com/ae-ar/" hreflang="ar-AE" />

각각의 태그는 사용자의 국가 및 언어를 나타내며 URL의 뒤에 배치됩니다.
예를들어 “en-AU”는 호주의 영어 사용자, “en-US”는 미국의 영어 사용자, “ar-AE”는 아랍 에미레이트의 아랍어 사용자를 뜻합니다.

Hreflang 태그는 각 페이지의 헤더 소스 코드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며 그 외에도 모든 페이지의 HTTP 헤더 그리고 사이트맵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단, 이 세가지 위치 중 한 곳에서만 hreflang 태그를 사용해야 합니다.)

혹여나 마케터가 이글을 읽고있고,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내부 개발팀/개발자 에게 문의해보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것입니다.

해외 SEO에 친화적인 URL 구조 세팅

웹사이트의 주소(URL)도 구글이 사용자에게 표시될 페이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들은 기존 웹 사이트에 서브 디렉토리(subdirectory) 구조를 추가하거나 타겟 국가별로 새로운 웹사이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서브 디렉토리(subdirectory) 구조를 사용하여 URL 세팅

하위 디렉토리(=서브 디렉토리)는 기존 메인 웹사이트 뒤에 해당 국가의 두 글자 ISO 코드를 사용하여 하위 폴더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예를들어 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하위 디렉토리는 www.example.com/ko, 스페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디렉토리는 www.example.com/es 와 같습니다.

하위 디렉토리는 설정과 유지 및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고, 이런 구조로 구현하는데 하나의 메인 도메인만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입니다.

타겟 국가별 새로운 웹사이트 URL을 세팅하는 방법

각 국가별 방문자를 위해 별도의 웹사이트 URL을 설정하는 방법은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ccTLD라고도 합니다.

예를들어 프랑스를 대상으로 한 ccTLD는 www.example.fr, 중국은 www.example.cn 입니다.

이 방법은 각 국가별 코드 사용하기 때문에 검색엔진에 강력한 국가 위치 신호를 보내며, 앞서 설명한 하위 디렉토리 방법보다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에게 현지 사용자에게 노출될 확률이 높은 SEO 전략입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국가별로 각각의 웹사이트를 유지하고, 각 사이트의 권한을 별도로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예외
만약 중국을 타겟하는 경우 기업의 규모와 상관없이 하위 디렉토리 구조가 아닌 최상위 도메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중국의 최상위 도메인 ".cn" 을 사용하지 않으면, 중국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검색엔진인 바이두(Baidu)에서 상위노출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이번시간에는 해외 SEO의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진출를 준비하는 개인이나 기업이라면 위의 단계를 사용하여 잠재고객의 요구에 맞게 웹사이트를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꼭 명심해야 할 점은 단순히 사이트의 언어만 바꾸는 것이 아닌, 해외 시장과 타겟 고객층을 다방면으로 조사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성공적으로 SEO를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해외 마케팅 무료상담

혹시나 위에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세밀하고 전문적인 SEO 서비스를 원하신다면
해외 SEO 전문 에이전시 ‘헤들리‘의 도움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헤들리 디지털은 경력 10-15년 이상의 SEO 전문가들이 직접 웹사이트 최적화 작업을 실행하는 국내에 몇 안되는 SEO 업체입니다.

지금바로 무료 상담을 받아보세요 !

Hedley Digital logo white
더 커진 매출과, 효과적인 노출!
새롭고 강력한 SEO 서비스를 시작하세요.

*글은 마음껏 가져가셔도 됩니다😃 다만, (1)출처를 남겨주시고 (2) 꼭 퍼가시는 글에 원문“하이퍼링크를 포함해주세요 !